(결정적인 스포일러는 없습니다만 중요한 이야기 중 하나를 미리 해버렸는지도 모르겠네요. 다들 금방 짐작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해서 굳이 숨기지 않았습니다.)




  옥스퍼드의 4증인 (An Instance of the Fingerpost)



  제가 좋아하는 네 가지 요소, 혹은 그 중 세 가지 요소(배합은 책마다 다르지만)를 포함하는 일련의 책들이 그 동안 제법 출판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역사 미스테리'라고 불리더군요. 우리 나라 독자들이 좋아하는 유형의 소설이라면서요? 저도 좋아하는고로 이 부류에 들어갈 만한 새로운 책을 접하게 될 때마다 기쁘긴 합니다만, 그 동안 접했던 책들이 현저히 질이 떨어지거나 자신이 다루는 대상에 대한 진지한 탐색이 결여되어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실망을 많이 하고는 어느 순간 기대를 접었었습니다. 하지만 이 소설은 정말 좋았습니다. 강추!!입니다. 이 제목은 구판 제목이고, 지금 시중에 도는 책은 제목이 '핑거포스트'라고 알고 있습니다.



  17세기 왕정복고 시대의 영국에서 일어난 한 살인사건과 그 숨겨진 진상을 네 명의 증인이 각각 자기가 바라본 대로 서술하는 구성인데,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은 역시 '사법살인'이 주는 서스펜스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사법살인을 지휘하고 뒤에서 덫을 놓은 사람은 이 사건과 전혀 관계가 없어보였고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도 물리적으로 상당한 거리를 갖고 있었던 전혀 뜻밖의 인물입니다. 진실은 표면에 드러나 있지 않았지만, 그에 관계했던 사람들 중 어느 누구도 완전한 지식을 손에 쥐지 못하지요. 뒤에서 진두지휘한 자조차도 말입니다. 몇십 년이 지난 뒤에야 '진상'을 알게 되는 한 사람이 있지만, 그 사람도 다른 사람들의 증언이 없었다면 결코 나머지 퍼즐을 끼워맞추지 못했을 겁니다. 네 사람의 증언은 각기 전 사람들의 증언을 뒤엎으면서 진행됩니다. 머리가 좀 아프고, 지루할 수도 있지만, 덕분에 소소한 서스펜스도 놓치지 않습니다.



  두 번째의 매력이라면, 과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현재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너무도 교묘히 결부되어 있어서 사건에 정말로 긴박성을 부여한다는 것입니다. 이 책을 구성하는 네 명의 증인 중 첫번째 인물인 콜라의 증언은 서막을 열고 기본을 제공하며, 외부에서 들어와 앞뒤 사정을 잘 모르는 입장인 이방인의 모험소설에 가깝습니다. 콜라는 스스로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같은 존재로 묘사하죠. 이 사람의 증언만을 통해 볼 때 드러난 것은 그 자체로 명백해 보입니다. 그러나 그 다음 증인인 잭 프레스콧의 증언은 이 사건이 과거에 있었던 다른 사건과 결부되어 있었다는 걸 알게 해 줍니다. 그의 증언은 완전한 본격추리물로서, 어찌나 정통적이었던지 그의 증언을 뒤에서 뒤집게 될 세 번째의 증언이 어떤 내용으로 채워질지 대충 가늠이 가능할 정도였습니다. 제가 예측하지 못했던 부분들도 물론 있지만요. 그 다음 증인인 월리스의 이야기는 스릴러의 요소가 조금 더 섞여 있고, 그 나름의 '진상'과 '반전'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네 이야기 중 가장 흥미롭습니다. 월리스는 물적 증거보다는 사람들의 증언과 정황적 증거를 토대로 비약적 추리를 통해 사건의 얼개를 끼워맞춰 나가는데, 나중에 그것들이 네 번째 증인인 우드의 증언을 통해 어떻게 반박되어 가는지를 보는 게 아주 재미있거든요. 우드의 증언은 앞서의 세 증언을 정리하면서 진상을 밝혀줍니다. 그리고 그들이 수사했던 '그 당시의 사건'과 그들 전 세대에 있었던 '과거의 사건'이 어떻게 맞물려돌아가 사법살인이라는 결과로 나타났는가, 그 과정에서 무엇이 은폐되었는가가 드러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의 매력은 물론, 이 책에 등장하는 실존 인물들입니다. 당대 영국을 운영했던 정치인과 귀족들은 물론이고, 리처드 보일에 존 로크에 크리스토퍼 렌까지, 그리고 전 전혀 몰랐지만 수학자나 암호학자라면 월리스라는 이름을 들어봤을 지도 모르는 노릇이죠. 전 개인적으로 보일과 로크에서 가장 재미를 보았는데, 보일은 워낙 유명한 화학자기 때문이고, 로크는 제가 예전에 수업시간에 담당해서 조원들과 함께 발제를 준비하기도 했던 인물이랍니다. 물론 서양정치사상사에서 아주 중요한 인물이기도 하지요. 저희는 로크의 '통치론'을 나누어 읽었고, 그 사람의 생애에 대해서도 조사했었습니다. 주로 명예혁명과 관련해서였지만요.



  과거의 일, 특히 남의 나라에 있었던 일에 대해 수박 겉핥기 식으로 배울 때, 우리가 잘 잊어버리는 것은 '쉽게 일반화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원칙이 아닌가 합니다. 역사책은 아주 자주 특정 세기의 '특징'을 몇 줄로 요약해주지만,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은 그 문제를 갖고 수없이 다른 입장을 가졌을 테니까요. 크롬웰의 사후에 일어났던 왕정 복고에 대해 전 '물리적 마찰이 없었다'고 들은 기억만 갖고 있었지만, 그 말이 갈등의 존재까지 없애주는 건 아니라는 거죠. 역사적 기술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시대에 대해서도 함부로 판단하는 대신 끊임없이 겸손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걸 이런 책들이 환기시켜 주었달까요.



  (2005. 01. 31)


Posted by Iphinoe

  1956년작입니다. 데뷔작 '로마 모자의 비밀'이 1929년에 나왔고, 마지막 장편이 1971년(A Fine and Private Place)에 나온 것 같;;으니 후기작에 속하는 것일까요. 두찬 님께서 클럽에 올려주신 리스트에 의존하자면 퀸이 직접 쓴 작품입니다.


  전 사실 이 책이 단편집인 줄로 착각하고 있었습니다. 제목의 'case'에 제멋대로 's'를 붙여버리고는 혼자 좋아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퀸 노경감님의 단독 수사집이라! 멋있는 컨셉이 아닙니까? 아버지와의 공조수사를 빙자한 엘러리의 수사담도 재미있지만, 두 사람의 콤비플레이를 보여주려면 아무래도 '범인'인 아버지가 '비범인'인 아들의 그늘에 가리게 되니까요. 엘러리가 조연으로 나오건, 아예 나오지 않건, 아버지 퀸의 독자적인 수사담도 재밌겠다는 생각은 했었습니다. 장편인 걸 알고 나서 조금 기운이 빠지긴 했습니다만, 그건 순전히 원서를 읽어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안타깝다는 정도였지, 기대가 줄어든 건 아니었습니다. 물론 여러 사건을 보는 게 한 사건을 보는 것보다 더 재미있을 수는 있겠지만, 제 생각에 퀸의 진가는 아무래도 단편보다는 장편에서 빛나는 것 같아서요.


  하지만 이 책은 '센터 가의 경감 퀸의 수사담'이 아니라, '은퇴한 센터 가의 경감 퀸의 수사담'입니다. 제 기대가 결정적인 부분에서 배반당한 것이지요. 부하들을 떼거지로 몰고 다니는 당당한 간부급 경찰 퀸의 이야기가 아니라, 자신이 이제 퇴물이 되어 더 이상 쓸모없는 존재라는 느낌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정년퇴직자 퀸의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불만이냐고 물으신다면, 불만입니다!!! 불만이고말고요. 리처드 퀸은 더 이상 경찰이 아니고, 전직 경감인 섬처럼 탐정 개업을 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는 어디까지나 비공식적인 입장에서 뛰어다니게 됩니다. 아마추어지만 적어도 뉴욕 경찰과 최소한의 공조 관계라도 맺고 있었던 엘러리와는 달리 그는 철저하게 무관의 시민이거든요. 게다가 이 소설에서 나레이터가 있다면, 그건 퀸이라기보다는 사건의 관계자이며 퀸과 핑크빛 모드를 연출하게 되는 다른 주인공입니다. 퀸은 자기 목소리를 가질 때도 물론 있지만, 대부분의 소설 진행 시간 동안 그 여자의 눈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즉, 제가 못마땅한 것은, 한마디로 이 소설은 리처드 퀸이라는 캐릭터에게 그가 가졌던 무게와 그동안 수행해준 역할만큼의 대접을 못해주고 있다는 거죠. 명색이 '퀸 경감의 단독 수사'를 전면으로 내세운 소설이 말입니다.^^


  수사 대상이 되는 사건은 상당히 냉혹한 범죄입니다. 태어난 지 이제 겨우 세 달 된 아기가 피살자거든요. 이 아기는 아이를 기를 입장이 되지 못하는 어머니가 낳아, 불법 입양 주선을 전문으로 하는 악덕 변호사의 손을 거쳐 한 부잣집에 입양이 됩니다. 바로 이 아이가 죽은 것이지요. 정황이 애매하기 때문에 사고사인가 살인인가가 논란이 되고, 시신을 처음 발견한 간호사는 살인을 주장하지만, 간호사가 봤던 증거가 범행 현장에서 사라져버렸기 때문에 경찰은 여자가 환상을 봤다고 단정하고, 검시재판도 사고사로 결정을 내립니다. 그러나 리처드 퀸은 간호사가 진실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두 사람은 함께 범인을 쫓습니다..


  리처드 퀸도 경찰직을 떠난 상태인 데다, 파트너 역할을 맡는 이 여자는 철저하게 아마추어이기 때문에, 이 소설은 본격물이라기보다는 모험담에 가깝습니다. 약간은 하드보일드적인 성격과 크리스티의 가벼운 모험물 같은 성격을 모두 지니고 있는 것 같아요. 퀸은 발로 뛰는 편이고, 퀸의 파트너는 퀸을 보조하면서 동시에 보호를 받는 존재가 됩니다. 퀸은 수사의 방향을 잡느라 고전하지만, 단서가 놓여 있는 곳까지는 제대로 찾아갑니다. 그러나 마지막의 추리는 퀸이 아니라 무려 퀸의 파트너의 몫이 됩니다. 퀸은 대부분의 액션을 담당하지만, 처절하리만치 실질적으로 한 일이 없습니다. 게다가 뼈아픈 실책까지 저지르게 되지요.


  그러나 로맨스는 결실을 맺습니다. 제일 큰 스포일러일지도 모르겠지만, 적어도 범인 이름을 대지는 않았으니...;; 퀸의 마지막 대사는 "엘러리가 이 일을 알면 뭐라고 할까?"인데(엘러리는 이 사건이 벌어지는 동안 내내 유럽에 있습니다), 책을 다 읽고 난 지금 저도 그게 제일 궁금하군요. 그 다음 장편은 1958년작 'The Finishing Stroke'인데, 이 책은 언제나 구해볼 수 있게 될까요..




  p.s. 퀸을 그린 방식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느라 정작 책에 대한 이야기는 하나도 못한 것 같네요.=) 하지만 그 이야기를 하려면 범인의 정체를 밝히고 시작해야 하니... 그런 건 다음에 마음이 난다면 생각해보고 싶다고는 생각하고 있지만, 어느 세월에 가능할지.



  (2005. 02. 12)
Posted by Iphinoe

  감상, 또는 리뷰의 형식을 띄는 글을 쓰려고 할 때마다 늘 같은 고민을 되풀이하게 되는군요.


  누구 읽으라고 글을 쓰는 것인가, 책 외적인 정보(작가에 대해서나 시리즈물의 경우 시리즈 전체에 대해서)를 배경 지식 삼아 첨부해야 할 것인가, 실은 아는 것도 없는데! 그런 생각들이지요.


  글을 어떤 식으로 써야 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어요. 제가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인지, 보편적으로 어느 정도 '알고 있'을 것이 기대되는지에 대해 확신이 없어서일 겁니다. 제가 쓰는 글이 일단 제 미니홈피나 화요추리클럽에 올라가는 것이라고 할 때, 아가사 크리스티의 작품을 읽고 글을 쓴다고 하면 작가나 전반적인 작품 세계에 대한 이야기는 일단 제쳐놓아도 필요할 때면 언제나 당연한 듯 끌어올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고 많이 읽으신 작가니까 설명을 굳이 단다는 게 우습지요.

  그렇지만 (이를테면) 퀸만 되어도 그렇게 당연하지 않을 때가 종종 생기고, 지금 열흘 남짓 감상 좀 써보려고 고민 중인 스콧 터로우쯤 되면 뭔가 간단치가 않아요. 물론 웹을 뒤지고 영어의 바다 사이를 헤쳐가며 공부를 해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반 위에서 글을 쓰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그럴 시간과 여유는 늘 부족하고 안다는 건 끝이 없으니 제가 아는 정도라면 누구나 다 알 만한 것이잖아요. 아예 이 작가는 나 아니면 모른다!라면 마음편히(?) 길을 연다는 차원에서 아는 것만이라도 적겠지만, 그렇다고 화요추리클럽 같은 공간에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최고예요! 꼭 읽어보세요~' 같은 글을 쓰는 사람이고 싶지는 않으니까요.


  게다가 책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고 싶은데 그걸 읽은 사람이 드물어서 내용 언급을 자제해야 한다면 문제가 더 까다로워지죠. 특히 저처럼 소설의 주제나 소재 못지않게 작가가 그것을 그려내는 방식, 주제를 부각시키기 위해 심는 장치 같은 걸 문제삼아 감상을 쓰는 경우는 경계를 지키기가 종종 너무 어렵습니다. 그리고 결말이 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언급을 피하면서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건 가끔은 정말 핵심은 고이 모셔두고 주변만 두들기고 다니는 느낌이에요. 그러니 아예 작정하고 경고를 달고 쓰거나, 아니면 하고 싶은 말은 적당히 삼키고 '이러저러한 작품 세계를 펼쳐온(다고 하는) 작가의 한 작품'이라는 차원에서 소개하듯 다루는 수밖에요. 하지만 전자는 어차피 그 책을 읽은 사람이 별로 없는데 무슨 의미가 있으며, 후자는 제가 답답해져요.


  거칠게나마 요약하자면 소개글을 쓸 것인가, 아니면 리뷰를 쓸 것인가의 문제가 되는군요. 가뜩이나 제 글쓰는 방식에도 근본적인 교정이 필요한데 이런 걸 덧붙여 고민하고 있는 게 한심할 따름입니다만... 한 달간 힘들여 읽은 책에 대해 글이 쓰고 싶습니다ㅡ.ㅜ



  (2006. 07. 26)


* [옮기면서 덧붙입니다] 마지막에 언급한 책은 'The Burden of Proof'입니다. 결국 그 글 리뷰는 이 글을 쓰고도 상당한 시간이 흘러 2007년 2월에야 비로소 썼습니다-_-; 여기도 올라와 있지요. 사실 그 글을 쓰지 못했던 건 다른 이유가 더 컸지만, 위의 문제로 고민한 시간이 워낙 길었던 터라 시기적으로 겹치는 부분이 있어요. 아직도 결론이 없습니다.


Posted by Iphinoe

사이드바 열기